2022 조충환·양건 형사법능력평가 세트 또는 시네마 테크 아트 > 연예

본문 바로가기

연예

2022 조충환·양건 형사법능력평가 세트 또는 시네마 테크 아트

profile_image
최고관리자
2025-05-26 23:08 84 0

본문




2022 조충환·양건 형사법능력평가 세트
9791167044815.jpg


도서명 : 2022 조충환·양건 형사법능력평가 세트
저자/출판사 : 조충환,양건, 박문각
쪽수 : 924쪽
출판일 : 2021-12-20
ISBN : 9791167044815
정가 : 47000

Ⅰ· 형법

Part 01 개인적 법익에 대한 죄
제1장 생명과 신체에 대한 죄
제1절 살인의 죄
기출문제
제2절 상해와 폭행의 죄
기출문제
제3절 과실치사상의 죄
기출문제
제4절 낙태의 죄
제5절 유기와 학대의 죄
기출문제

제2장 자유에 대한 죄
제1절 협박의 죄
기출문제
제2절 강요의 죄
기출문제
제3절 체포와 감금의 죄
기출문제
제4절 약취, 유인 및 인신매매의 죄
기출문제
제5절 강간과 추행의 죄
기출문제

제3장 명예와 신용에 대한 죄
제1절 명예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2절 신용·업무와 경매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4장 사생활의 평온에 대한 죄
제1절 비밀침해의 죄
제2절 주거침입의 죄
기출문제

제5장 재산에 대한 죄
제1절 재산죄 일반론
기출문제
제2절 절도의 죄
기출문제
제3절 강도의 죄
기출문제
제4절 사기의 죄
기출문제
제5절 공갈의 죄
기출문제
제6절 횡령의 죄
기출문제
제7절 배임의 죄
기출문제
제8절 장물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9절 손괴의 죄
기출문제
제10절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죄
기출문제

Part 02 사회적 법익에 대한 죄
제1장 공공의 안전과 평온에 대한 죄
제1절 공안을 해하는 죄
제2절 폭발물사용죄
제3절 방화와 실화의 죄
기출문제
제4절 일수와 수리에 관한 죄
제5절 교통방해의 죄
제6절 먹는 물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2장 공공의 신용에 대한 죄
제1절 통화에 관한 죄
제2절 유가증권·우표와 인지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3절 문서에 관한 죄
제4절 인장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3장 사회의 도덕에 대한 죄
제1절 성풍속에 관한 죄
제2절 도박과 복표에 관한 죄
제3절 신앙에 관한 죄
기출문제

Part 03 국가적 법익에 대한 죄
제1장 국가의 존립과 권위에 대한 죄
제1절 내란의 죄
제2절 외환의 죄
제3절 국기에 관한 죄
제4절 국교에 관한 죄

제2장 국가의 기능에 대한 죄
제1절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2절 공무방해에 관한 죄
기출문제
제3절 도주와 범인은닉의 죄
기출문제
제4절 위증과 증거인멸의 죄
기출문제
제5절 무고의 죄
기출문제

Ⅱ· 형사소송법
Part 01 수 사
제1장 수사 총설
제1절 수사의 의의와 구조
제2절 수사의 조건
기출문제

제2장 수사기관과 피의자
제1절 수사기관의 의의와 종류
제2절 피의자

제3장 수사의 개시
제1절 수사의 단서
제2절 불심검문
제3절 변사자검시
제4절 고 소
제5절 고발·자수
기출문제

제4장 임의수사
제1절 임의수사와 강제수사
제2절 임의수사의 원칙과 강제수사의 규제
제3절 임의수사와 강제수사의 한계영역
제4절 임의수사의 유형
기출문제

제5장 강제처분과 강제수사
제1절 서 설
재2절 피의자체포
기출문제
제3절 피의자와 피고인의 구속
기출문제
제4절 압수·수색·검증
기출문제
제5절 판사에 대한 강제처분의 청구(판사가 행하는 강제처분)

제6장 수사의 종결
제1절 수사종결의 의의·종류
제2절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불복
제3절 공소제기 후의 수사
기출문제

Part 02 증 거
제1장 증거법 일반
제1절 증거의 의의·종류
제2절 증거재판주의
제3절 거증책임
기출문제

제2장 증거능력
제1절 서 설
제2절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기출문제
제3절 자백의 증거능력
기출문제
제4절 전문증거의 증거능력
제5절 당사자의 동의와 증거능력
기출문제
제6절 탄핵증거
기출문제

제3장 증명력
제1절 자유심증주의
제2절 자백보강법칙
제3절 공판조서의 증명력
기출문제




시네마 테크 아트
9791158483272.jpg


도서명 : 시네마 테크 아트
저자/출판사 : 이선주, 박이정
쪽수 : 234쪽
출판일 : 2021-12-20
ISBN : 9791158483272
정가 : 14000

서문

1부 ‘비디오 이후’의 시네마

1장 필름과 비디오의 변증법: 디지털로의 이행기 고다르와 하네케의 ‘비디오필리아’
1. 비카인드 리와인드, 죽은 미디어로서의 아날로그 비디오를 돌아보기
2. 비디오의 시간적 존재론: 즉시성, 동시성, 시간 전환 〈베니의 비디오〉, 〈히든〉
3. 비디오의 공간적 존재론: 유동적 스크린, 합성과 공간적 몽타주 〈여기와 저기〉, 〈넘버 2〉
4. 비디오필리아와 사색적인 관람성: 〈영화사(들)〉
5. 올드/뉴 미디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2장 포스트 시네마 시대의 노스탤지어 영화 : 디지털 시각효과와 필름 영화의 향수
1. 노스탤지어 영화
2. 노스탤지어의 양가성,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필름 노스탤지어
3. 영화의 기원에 대한 3D 리메이크, 〈휴고〉
4. 무성영화와 유성영화, 필름과 디지털의 상호작용, 〈원더스트럭〉
5. 과거와 현재의 대화로서의 포스트시네마

3장 디지털 슬로우 시네마: 페드로 코스타와 지아 장커의 경우
1. 디지털 슬로우 시네마
2. ‘사이의 영화’: 리얼리즘과 형식주의, 다큐와 픽션의 공존 /
3. 페드로 코스타의 시간의 윤리학: 〈반다의 방〉의 디지털 리얼리즘
4. 지아 장커와 디지털 민주주의: 〈스틸 라이프〉의 느림과 정지
5. 동시대 영화 미학의 최전선

2부 여성 감독과 ‘기술적 작가성’
4장 기술적 작가성 : 초기영화의 선구자 알리스 기의 기술과 미학 실험
1. 초기영화와 ‘기술적 작가성’
2. 알리스 기의 시각적 스타일과 기술적 실험들
3. 초기영화=무성영화?: 영화기술의 진화론에 대한 질문
4. 기술과 예술, 영화의 지속가능한 미래
5장 매체와 예술의 경계를 횡단하는 시네마 : 아네스 바르다의 21세기 영화와 설치미술
1. 바르다의 21세기 ‘씨네크리튀르(영화-쓰기)’
2. 디지털 카메라를 든 바르다: 〈이삭줍는 사람들과 나〉
3. 유일한 영화와 다수의 영화들: 설치 작품들과 매체 횡단
4. 영화의 두 번째 삶과 그 ‘너머’

3부 21세기 새로운 내러티브의 모색
6장 도망치는 영화 : 홍상수의 복잡성 내러티브 영화의 진화
1. 복잡성 내러티브 영화와 김민희 이후 홍상수 내러티브의 ‘미니멀한 복잡성’
2. ‘여성 산책자’ 내러티브: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밤의 해변에서 혼자〉
3. ‘확장된 네트워크’ 내러티브: 〈풀잎들〉, 〈도망친 여자〉
4. 도망치는 영화, 혹은 비가시적 세계의 확장

7장 크라우드소스 다큐멘터리: 박찬욱, 박찬경의 디지털 도시교향곡 〈고진감래〉
1. 편재하는 ‘카메라를 든 사람들’
2. 도시교향곡 장르의 전통과 크라우드소스 다큐멘터리 /
3. 편집자/매개자로서의 ‘파킹찬스’와 크라우드소스 ‘서울 교향곡’ 〈고진감래〉
4. 디지털 도시교향곡과 다성적 몽타주

참고문헌
발표지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 상담신청